매년 소멸하는 카드 포인트가 1,000억 원에 달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저도 작년에 깜빡하고 날린 포인트가 아까워 이불킥을 했었는데요. 최근 금융당국과 카드사들이 '포인트 자동사용 서비스'를 대폭 확대했다는 소식을 듣고 직접 설정해 보았습니다. 숨만 쉬어도 카드값이 차감되는 이 기능, 어떻게 신청하는지 정리했습니다.
포인트, 이제 찾지 말고 '자동'으로 쓰세요
기존에는 카드 포인트를 쓰려면 앱에 들어가서 '계좌 입금'을 신청하거나 '결제 대금 차감'을 매번 눌러야 했습니다. 귀찮아서 미루다가 유효기간 5년이 지나 소멸되는 경우가 허다했죠.
하지만 이번 제도 개선으로 '한 번만 설정해두면' 매달 카드값에서 포인트만큼 자동으로 깎이는 서비스가 전면 확대되었습니다. 내가 신경 쓰지 않아도, 100원이든 1,000원이든 쌓이는 족족 현금처럼 사용되는 셈입니다.
확대된 적용 범위 (1포인트도 1원으로)
과거에는 일정 포인트(예: 1만 점) 이상 쌓여야만 사용 가능한 경우가 있었지만, 금융당국의 지침으로 장벽이 사라졌습니다.
| 구분 | 기존 방식 | 개선 후 (자동 사용) |
|---|---|---|
| 신청 방식 | 매월 건별 신청 | 최초 1회 설정 시 자동 유지 |
| 사용 단위 | 일정 단위 제한 있음 | 1포인트 단위 전액 차감 |
| 적용 시점 | 신청 다음 달 청구서 | 당월 결제 대금 즉시 차감 |
*단, 현대카드 M포인트 등 일부 특수 포인트는 1:1 비율이 아닐 수 있으므로(1.5M=1원 등) 확인이 필요합니다.
카드사별 자동 차감 설정 방법
주요 카드사 앱에서 이 기능을 찾는 경로는 대동소이합니다. 직접 확인해본 메뉴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신한/KB/삼성 등: 앱 메뉴 → 혜택/포인트 → '포인트 결제대금 납부' → '자동신청' 선택
- 우리카드: '포인트 자동사용' 서비스 별도 메뉴 운영
- 주의: 반드시 '일시 납부'가 아닌 '자동 납부(매월)' 옵션을 체크해야 합니다.
이렇게 설정해두면 통장에 잔고가 부족할 때, 쌓여있는 포인트가 먼저 빠져나가 연체를 방지하는 효과도 볼 수 있었습니다.
놓치면 손해 보는 '세금 납부' 활용법
카드 포인트는 물건 살 때만 쓰는 게 아닙니다. 특히 연말이나 연초에 나오는 자동차세, 재산세 등 지방세 납부 시 포인트를 활용하면 쏠쏠합니다.
'위택스(Wetax)'나 서울시 'ETAX' 앱에서 세금을 결제할 때, "포인트 사용"에 체크하면 보유 포인트만큼 세금이 감면됩니다. 이 또한 자동 사용 설정과는 별개로, 고액의 세금을 낼 때 자투리 포인트를 털어내기에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
단, 일부 카드사는 세금 납부 시 포인트 사용분에 대해 추가 적립은 해주지 않는 경우가 많으니 참고하세요.
2025년 금융 포인트 통합 트렌드
2025년 말부터는 카드 포인트뿐만 아니라, 백화점·항공사 마일리지까지 하나의 앱에서 조회하고 소액 결제에 활용하는 '오픈 포인트' 생태계가 확장될 전망입니다.
- 간편결제 연동: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결제 시 카드사 포인트가 실시간으로 자동 전환되어 사용되는 기능이 보편화되고 있습니다.
- 기부 활성화: 남은 포인트를 1원 단위로 자동 기부하고, 연말정산 세액공제를 받는 서비스도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 카드사 앱에서 '결제 대금 자동 납부'를 한 번만 신청하면 포인트 소멸 걱정이 없습니다.
- 1포인트 단위로 알뜰하게 차감되며, 연체 방지 효과도 있습니다.
- 여신금융협회 통합조회 서비스를 통해 잊고 있던 포인트를 한 번에 현금화할 수도 있습니다.
지금 바로 카드 앱을 켜고 '자동 사용' 버튼을 누르는 1분이, 1년 뒤 몇만 원을 아껴줍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본 콘텐츠는 2025년 11월 기준 금융위원회 및 각 카드사의 정책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카드사별 약관 변경이나 포인트 종류(M포인트, 마이신한포인트 등)에 따라 현금화 비율 및 사용 조건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해당 금융사 앱에서 상세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 여신금융협회 카드포인트 통합조회 시스템
- - 금융결제원 어카운트인포
- - 주요 카드사(신한, KB, 삼성, 현대 등) 공식 약관